이건 메데아님과 의견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 핑계 없는 무덤 없고, 교도소엔 무죄인 사람밖에 없듯이. 어디까지 '사회시스템의 탓'을 할건지, 개인의 일탈을 사회 공동의 책임으로 돌리는 건 문제가 있다고 봐요. 어린시절이 불우 해서 범죄자가 된게 아니라 그저 범죄자의 어린 시절이 불우했던거고(증언의 신빙성 문제도 있을거고요), 사회시스템이 미비해서 범죄가 발생하기보다는 범죄자들은 어떻게든 사회 시스템의 헛점을 찾아내는 것 뿐이고요. 범죄자는 범죄자일뿐. 결코 동정받거나 이해받아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본문의 요지는 한 개인의 일탈에 대한 근본적 책임을 사회 시스템에 돌리거나 범죄자 개개인의 죄질을 외부의 이유로 덧칠하는 게 결코 아닙니다.
본문 결말에 강조했듯, 청소년 시기엔 그 또래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그들만의 법칙과 분위기 속에서 '악영향'을 끼치는 환경적 요인들이 허술하게 통제되며 때로는 부추겨지는 측면에서 불특정 다수가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현실적 문제에 대해서도 시대와 장소를 구분 짓지 않는 초월적 자세로 경계해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
그리고 보다 꼼꼼한 사회 시스템의 발휘와 가정 및 학교의 손길이 있을수록 이러한 '불특정 다수가 노출되는 문제' 또한 옅어지며, 동시에 그로 말미암아 행여나 미래에 있을 피해자 발생을 미리부터 방지할 수 있다는, 범죄자&가해자에 대한 두둔이 아닌 피해자에 대한 보호 측면에서 서술하고자 했던 의도였습니다.
이건 메데아님과 의견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 핑계 없는 무덤 없고, 교도소엔 무죄인 사람밖에 없듯이. 어디까지 '사회시스템의 탓'을 할건지, 개인의 일탈을 사회 공동의 책임으로 돌리는 건 문제가 있다고 봐요. 어린시절이 불우 해서 범죄자가 된게 아니라 그저 범죄자의 어린 시절이 불우했던거고(증언의 신빙성 문제도 있을거고요), 사회시스템이 미비해서 범죄가 발생하기보다는 범죄자들은 어떻게든 사회 시스템의 헛점을 찾아내는 것 뿐이고요. 범죄자는 범죄자일뿐. 결코 동정받거나 이해받아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의견 댓글 감사합니다 :)
본문의 요지는 한 개인의 일탈에 대한 근본적 책임을 사회 시스템에 돌리거나 범죄자 개개인의 죄질을 외부의 이유로 덧칠하는 게 결코 아닙니다.
본문 결말에 강조했듯, 청소년 시기엔 그 또래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그들만의 법칙과 분위기 속에서 '악영향'을 끼치는 환경적 요인들이 허술하게 통제되며 때로는 부추겨지는 측면에서 불특정 다수가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현실적 문제에 대해서도 시대와 장소를 구분 짓지 않는 초월적 자세로 경계해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
그리고 보다 꼼꼼한 사회 시스템의 발휘와 가정 및 학교의 손길이 있을수록 이러한 '불특정 다수가 노출되는 문제' 또한 옅어지며, 동시에 그로 말미암아 행여나 미래에 있을 피해자 발생을 미리부터 방지할 수 있다는, 범죄자&가해자에 대한 두둔이 아닌 피해자에 대한 보호 측면에서 서술하고자 했던 의도였습니다.
감사합니다 :D